2018년 7월 17일 20:07

REST API 알아보기

이 글에서는 REST API 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API 란?

API 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의 약자입니다.

Interface 란?
Interface 의 용어도 많이 접해볼 수 있는데   (예를들면 GUI, CLI)
간단히, 어떤 두개의 시스템 사이에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접목시켜주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조건, 규약 등을 인터페이스라고 합니다.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하기위한 키보드, 마우스 등등의 장치는 사람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반대로 API 는 프로그램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의 기능을 쓰기위해 어떠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하는것처럼 프로그램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합니다.

결론적으로 API 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하는것입니다.

REST API 역사

Representation State Transfer 의 약자로서 2000년도에 로이 필딩 (Roy Fielding)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습니다.
로이 필딩은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명으로 웹 설계의 우수성에 비해 제대로 사용이 되어지지 않아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쳐로 REST를 발표했습니다.

REST 구성

REST API 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 자원 (Resource) - URI
  • 행위 (Verb) - HTTP Method
  • 표현 (Representation)

REST 는 간단히 요약하자면
URI 와 HTTP Method 를 통해 객체화된 웹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 정도가 되겠다.

REST 특징

REST 는 다음과같은 6가지의 특징을 갖습니다.

Uniform Interface (유니폼 인터페이스)

유니폼 인터페이스는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해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하는 아키텍쳐 스타일을 말합니다.

Stateless (무상태성)

REST 는 무상태성을 갖는데 다시말해 어떠한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보관하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API 서버는 단순히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하기만 하면 됩니다. 때문에 서비스의 자유도도 높아지고 서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관리하지않으므로 구현이 단순해 집니다.

Cacheable (캐시 가능)

REST 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인데 HTTP는 웹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캐싱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Self-descriptiveness (자체 표현 구조)

REST의 다른 큰 특징 중 하나로 REST API 의 메세지만 보고도 쉽게 이해가 가능한 자체 표현 구조로 되어있다는 것입니다.

Client - Server 구조

Client 는 사용자 인증이나 컨텍스트(세션, 로그인정보 등)등을 직접관리 하는 구조,
REST Server는 API 제공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에서 개발해야 할 내용이 명확해지고 의존성이 줄어들게 된다.

계층형 구조

REST 서버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어 보안, 로드밸런싱, 암호화 계층을 추가해 구조상의 유연성을 둘 수 있고 PROXY, 게이트웨이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로드밸런싱 (Load Balancing)이란?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가상 IP를 통해 여러 서버에 접속하도록 분배하는 기능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장비를 로드밸런서 라고 한다.

프록시 (Proxy) 란?
프록시(Proxy)는 '대신' 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프로토콜에 있어서 대리 응답 등에서 사용하는 개념.
예를들어 보안상의 문제로 직접 통신할 수 없는 사이에 프록시를 이용해 중계를 하는 개념을 들 수 있다.

게이트웨이 (Gateway) 란?
게이트웨이는 출입구, 관문 이란 뜻으로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위해 반드시 거쳐야하는 거점입니다.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두 프로토콜을 적절히 이어주는 변환기가 필요한데 이것을 게이트웨이가 합니다.

REST API 디자인 가이드

다른것은 다 잊더라도 다음의 두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1. URI 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2.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OST, PUT, DELETE) 로 표현한다.

REST API 중심규칙

  •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리소스명은 동사보단 명사를 사용)

잘 적용되지 않은 사례 :
GET /members/delete/1

delete 는 행위인데 리소스에 포함되어 있기에 잘 적용된 사례가 아닙니다.

잘 적용된 사례 :
GET /members/1
  •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OST, PUT, DELETE)로 표현

    위의 잘 적용되지 않은 사례를 바로 고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DELETE /members/1

URI 설계시 주의할 점

  • 슬래시 구분자 ( / )는 계층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
http://kimheecehol/phones/iphone
http://kimheecheol/laptop/macbook
  • URI 의 마지막 문자로 슬래시( / )를 포함하지 않는다.

    URI 에 포함되는 모든 글자는 리소스의 유일한 식별자이기 때문에 혼동을 주지않기 위해 마지막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http://kimheecheol/phones/iphone/ (X)
http://kimheecheol/phones/iphone  (O)
  • 하이픈( - ) 은 가독성을 높이는데 사용

    긴 URI 경우에는 하이픈( - )을 이용해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밑줄( _ ) 은 사용하지 않는다

    밑줄때문에 글자가 가려질수 있으므로 하이픈을 사용한다.

  • URI 경로는 소문자로

    대소문자에 따라 리소스를 다르게 인식하기 때문에 URI 경로에는 소문자가 적합하다.

  • 파일 확장자는 URI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REST API 를 설계할 때 확장자는 사용하지 않게 되면 리소스가 좀 더 유연해집니다.
    hello 라는 파일이 있을 때 요청을 하면 http://~~/hello.txt 와 같이 요청을 하게 되는데
    만약 다른 형식으로 지원하려면 확장자가 .?? 이런식이 될겁니다. 이러면 http://~~/hello.?? 라는 URI 도 준비를 해야합니다.
    다른 리소스를 식별하는 두개의 URI 이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리소스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REST API 에서는 http://~~/hello 라고 대응만 해 놓고 요청이 왔을 때, Accept header 를 적절히 파싱하여 클라이언트가 요청한대로 응답해주면 됩니다.

리소스간 관계 표현하기

리소스간에 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리소스명/리소스 ID/관계가 있는 다른 리소스명

ex) GET : /users/{userid}/devices (일반적으로 소유 'has' 관계를 표현할 때)

관계명이 복잡한 경우에는 서브 리소스에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좋아하는' 디바이스목록을 표현해야하는 경우입니다.

GET : /users/{userid}/likes/devices (관계명이 애매하거나 구체적 표현이 필요할 때)

자원을 표현하는 Collection 과 Document

Document 는 단순히 문서로 이해해도 되고, 하나의 객체로 이해해도 되고
Collection 은 Document 들의 집합, 객체들의 집합으로 보시면 됩니다.

Collection 과 Document 모두 리소스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URI 표현됩니다.

Document 는 어떤 문서에서는 Element 라고 소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http://kimheecheol/sports/soccer

위의 URI 에서는 sports 는 Collection, soccer 는 Document로 볼 수 있습니다.

http://kimheecheol/sports/soccer/players/8

위의 URI 에서 Collection은 sports 와 players 가 되겠고,
Document 는 soccer 와 8 이 되겠습니다.

여기서 특징은 Collection 은 복수 형태로 표현한다 는 점입니다.

HTTP Method의 알맞은 역할

POST, GET, PUT, DELETE 의 4가지 Method 를 가지고 CRUD 를 할 수 있습니다.

CRUD 란?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기능인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를 묶어서 일컫는 말이다.

  • POST

    POST 를 통해 해당 URI 를 요청하면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 GET

    GET 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조회합니다. 리소스를 조회하고 해당 도큐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가져온다.

    Collection 리소스를 조회하게 되면, 하위의 도큐먼트들의 목록과 아주 간단한 정보들을 가져옵니다.
    Docuemnt 리소스를 조회하게 되면, 해당 도큐먼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들을 가져옵니다.

  • PUT

    PUT 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수정합니다.

  • DELETE

    DELETE 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HTTP 응답 상태 코드

상태 코드의 첫번째 숫자에 의해 크게 5가지로 구분됩니다.

1xx : Informantion (정보)

요청 (request) 을 받고 대기중에 있는 상태

2xx : Success (성공)

요청 (request) 이 성공적으로 처리 됨

3xx : Redirection (리디렉션)

요청 (request) 완료를 위해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함

4xx : Client Error (클라이언트 오류)

클라이언트 오류를 처리할 수 없어 오류 발생

5xx : Server Error (서버 오류)

서버에서 처리를 못하여 오류 발생

성공

  • 200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행했음. 여기서 요청에대한 응답 바디(Body)엔 요과 관련된 내용을 넣어줍니다.
    200의 응답바디에 오류 내용을 전송해서는 안된다고 합니다.
  • 201
    클라이언트가 어떤 리소스 요청하였고, 해당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 되었을 때 사용.
  • 202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비동기적으로 처리될 때 사용, 응답바디에는 처리되기까지의 시간정보등을 넣어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 204
    클라이언트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행했음. 200 과 다른 점이라고하면 204는 응답바디가 없을 때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DELETE 와 같은 요청은 삭제가 성공하고 부가적으로 알려줄만한 정보가 없을 때 204를 씁니다.

실패

  • 400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잘못된 HTTP 요청을 보냈을 때 사용.
    예를들어 클라이언트가 URL주소의 중간에 빈공간을 넣는 등 부적절한 방법으로 서버에게 요청한 경우가 해당됨.
  • 401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사용하는 요청. 예를들어, Login 하지 않은 사용자가 로그인했을 때만 요청 가능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401을 응답합니다.
  • 403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접근을 차단하는것을 말합니다.
    403 은 리소스는 존재하지만 보여주고싶지않은 페이지입니다. 예를들면 관리자 페이지가 있습니다.
    보통 403은 보안상의 이유로 404 나 400으로 응답하는경우가 많습니다.
  • 404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응답입니다.
  • 405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서 사용 불가능한 Method 를 사용했을 때 사용하는 응답입니다.
    예를들어 읽기전용 리소스에 DELETE Method 를 사용했다면 405로 응답합니다.

기타

  • 301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URI 가 변경되었을 때 사용하는데 301 코드와 함께 새로운 주소로 이동합니다.
  • 500
    클라이언트 요청에 서버가 응답하지 못하는 내부 서버에러입니다.
    서버상의 에러이기 때문에 서버관리자가 반드시 살펴봐야합니다.

마무리지으며

  • 이번기회에 REST API 에 대해 어느정도 알게 된 것 같다.
  • 항상 그렇듯 몸으로 느껴봐야 비로소 내것이되는 듯하다.
  • 김동범님의 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를 보고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그냥 따라서 정리한 느낌.. 너무 정리가 잘 되어있어서 좋았다.)

참고문서

©2022 heecheolman

Built with Gatsby